(3) HP Microserver(마이크로서버) Gen8 체험단 – 서버 가상화를 통한 활용기

메인-페이지4

 

안녕하세요.

오늘은 HP Microserver Gen8의 마지막 시간인 <주제3> ‘서버 가상화를 통한 활용기’ 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이번에 서버 가상화 활용기는 크게 ‘개인이 사용할 만한 것’

‘기업이 사용할 만한 것’ 으로 나눠서 포스팅을 할겁니다.

 

 

1. 서버 가상화 활용기 – 개인(Personal/Normal Users)

 

개인사용

 

지난시간에 Intelligent Provisioning을 통해 설치 해 본 ESXi를 통해서도 개인이 쉽게 서버 가상화를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개인의 경우에는 기업과 달리 큰 규모의 서버를 운영하지 않게 됩니다.

많은 것을 운영해보아야 Windows나 Linux(Ubuntu) 정도를 사용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저의 경우는 ESXi 안에 Windows 7 VM과 Ubuntu VM을 넣어보았습니다.

 

 

개인-vms

 

 

이렇게 자신이 원하는 OS를 입맛대로 ESXi에 넣어서 활용을 할 수 있습니다.

흔히 개인이 ESXi를 사용하게 되는 이유 중 하나는 여러 OS를 동시에 사용해보고 싶어서입니다.

 

imgvirtualbox1

 

Vmware Workstation이나 Oracle사의 Virtualbox를 통해 VM을 사용할수도 있습니다만,

사용하기 위해서는 PC를 무조건 켜야하고 PC 리소스도 많이 잡아먹게 됩니다.

그래서 ESXi 서버를 운영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할 때 즉각즉각 리소스를 할당하여 VM들에 배분해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Workstation이나 Virtualbox보다 전력도 적게 소비가 됩니다.

흔히 각 OS마다 OS 별로 특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윈도우 기반의 홈페이지 보다는 리눅스 기반의 홈페이지가 많이 쓰이는 편이며,

리눅스 기반의 스트리밍 서비스보다는 윈도우 기반의 스트리밍 서비스가 많이 쓰입니다.

이렇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하나의 OS 보다는 여러 OS를 한꺼번에 쓰고 싶은 욕구가 생기게 됩니다.

이를 서버 가상화를 통해서 해결 볼 수 있습니다.

아래 여러 가상화 활용 예를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Windows 7 – 네트워크(CIFS) 드라이브 공유

 

cifs-intro

 

먼저 CIFS 공유입니다.

물론 이것은 리눅스에서도 구현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파일 등을 네트워크 CIFS 공유를 통해서 리눅스나 윈도우나 모두 공유가 가능합니다.

HP Microserver는 기가비트를 지원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빠른 속도로 파일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서버-write

 

추가적으로, 좀 더 난이도를 높이면 티밍과 같은 기술을 통해서

대역폭을 확장하여 속도를 높이는 기능을 구현 할 수 있습니다.

Link_Aggregation1

Microserver Gen8의 경우 NIC 포트가 2개이므로 2개를 묶어서 티밍이 가능합니다.

 

 

2. Windows 7 – Qloud Media Server

 

qloudmedia-intro

 

iOS에서 쓰이는 Air Video와 쌍벽을 이루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입니다.

이것을 Windows 7 VM에 설치하여, 휴대폰 등 모바일 디바이스로 동영상 스트리밍이 가능합니다.

처음에 제가 ESXi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Qloud Server 입니다.

Air Video의 경우는 리눅스에도 설치가 가능했지만 저는 안드로이드 폰이므로 Qloud Server가 필요했습니다.

Qloud Server의 경우는 리눅스에서 전혀 작동이나 설치를 할 수 없습니다.

리눅스에서 .exe를 실행시킬 수 있는 와인(Wine)을 써보았지만 에러가 나더군요.

 

qloud-server

 

윈도우에서는 위와 같이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가동할 수 있습니다.

비록 가상화라는 껍데기로 운영하고 있지만, 리얼 못지 않는 성능을 보여줍니다.

물론 요즘은 영상이 점차 고급화 되면서 720p는 기본이고 1080p 블루레이급 영상이 많이 생겼습니다.

이런 영상들은 Microserver Gen8에서는 버거워 할 것입니다.

그러나 실망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Microserver인데 Server급의 스트리밍을 시키면 곤란하겠죠?

 

 

qloud-사용-사진

 

그래도 720p 까지의 영상은 꾸역꾸역 재생은 해주는 것 같더군요.

개인 혼자서 사용하기에는 충분해 보입니다.

 

 

 

 

3) Windows 7 – 공인인증서 보관 또는 Active X 결제 용도로 사용

 

active-x-intro

 

국내에는 해외와 달리 Active X가 없으면 은행결제, 공인인증서 등 다양한 보안 관련 작업이 있는 페이지를 접속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Active X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요.

문제는,  Active X를 설치하게 되면 PC가 상당히 느려지게 됩니다.

느려저서 포맷을 하게 되더라도 다시 Active X 관련 소프트웨어들을 설치하게 되면 또 느려집니다.

그렇다고 Active X 소프트웨어를 설치 안 할 수도 없고….

여러 고민이 많으실겁니다.

 

active-x

 

그럼 Active X를 쓰면서 PC도 느려지지 않게 관리할 수 있을까요..?

현재 가장 괜찮은 해결방법은

Active X 관련 소프트웨어들을 ESXi VM에 설치해서 VM만 켜서 사용을 하게 된다면,

내 리얼 PC의 성능은 유지한채로 Active X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4) Ubuntu – FTP server

 

ftp-server-intro

 

이제 우분투 VM을 이용한 활용기 입니다.

저는 먼저 간단하게 FTP 서버를 구축해보았습니다.

FTP 서버를 통해서 간단하게 웹에서도 아래와 같이 파일 공유가 가능합니다.

 

ftp-server

Windows에서도 FTP를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축이 가능한데 왜 굳이 우분투로 했냐고요?

바로 ‘익숙함’ 때문입니다.

FTP를 소프트웨어로 윈도우로 설치하는 것 보다 FTP daemon을 스크립트로 작성해서 사용하는 것이 저는 더 익숙하더군요.

아마 여러분 중에서도 저처럼 터미널로 작동시키는 FTP가 더 편하신 분들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5) Ubuntu – Transmission Server

 

transmission-intro

 

이 자동차 변속 기어 처럼 생긴 것은 무엇일까요?

그대로 해석을 해보시면 됩니다..

변속기어 = Transmission 이지요.

Transmission Server는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이것은 토렌트 머신의 일종이며, 우분투에 토렌트 서버를 설치하는 것 입니다.

토렌트 서버를 설치함으로 내 ESXi 서버를 토렌트 머신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transmission

 

위와 같이 웹에서도 간단하게 내 토렌트 서버에 접속해서 토렌트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토렌트를 다운받을려면 내 PC를 직접 켜고 토렌트를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토렌트 서버를 운영할 경우 스마트폰에 ‘Remote Transmission’을 통해 토렌트 추가가 가능합니다.

또한 저의 경우 토렌트 내의 설정을 통해 토렌트 파일 자동 인식 및 자동 삭제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사용해보았습니다.

토렌트 파일을 특정 폴더에 넣어주면 자동적으로 토렌트가 추가되며

토렌트 추가 후에는 저절로 .torrent 파일은 삭제됩니다.

마치 윈도우의 uTorrent와 비슷하지만 uTorrent는 클라이언트로만 되는 소프트웨어고

Transmission Daemon의 경우 스스로 움직이므로 같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6) Ubuntu – Web Server

 

http-server-intro

 

리눅스의 꽃이 무엇이라고 보세요?

저는 리눅스의 꽃은 APM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윈도우 서버나 윈도우7을 사용하지 않고 우분투를 고집하는 이유 중 하나에는 APM이라는 것 때문입니다.

<APM>은 Apache, PHP, Mysql의 약자들로 웹 서버를 구축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서비스들 입니다.

APM외에도 Apache를 대신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는 합니다.

그러나 호환성 면에서도 익숙함 면에서도 아직까지는 APM이 우세하지 않나 싶습니다.

 

 

web-server

 

위와 같이 우분투로 간단하게 웹서버를 가동시킬 수 있습니다.

 

webserver-linkhard

 

가동후 우리나라에서 만든 설치형 웹하드인 ‘Link Hard’를 설치해보았습니다.

VM UBUNTU이지만 빠르게 설치 및 작동이 됩니다.

처음에는 이 LinkHard를 윈도우 서버에 설치를 하려고 했었습니다.

그러나 LinkHard는 APM이 아니면 설치가 되지 않더군요.

 

iis71

 

윈도우 서버는 APM 보다는 iis + php+ mysql을 사용을 많이 합니다.

윈도우 서버의 APM 서비스는 별로여서 APM이 잘 되는 우분투에 Linkhard를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설치 후 작동이 잘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vclient-intro

 

Ubuntu, Windows….etc..

각 OS 별로 실행되는 App들은 전부 다릅니다.

물론 서로 호환이 되거나 버전을 다르게 만들어서 모든 OS에서 구동이 되도록 만든 소프트웨어들도 있지만

대다수는 특정 OS에서만 App이 작동되게 됩니다.

HP Microserver Gen8에 ESXi를 설치 해놓는다면 다양한 VM들을 올릴 수 있습니다.

VM안에서 각 OS에 맞는 App 설치를 통해 한 서버 내에서 동시에 여러 App을 실행 가능한 가상화 활용이 가능합니다.

 

 

 

2. 가상화 활용기 – 기업(Enterprise)

 

아까의 경우는 오로지 개인을 위한 가상화 활용이라면,

저는 기업이 활용 할 수 있는 가상화 활용도 해보았습니다.

위와 같이 HP Microserver Gen8을 vCenter로 운영하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vCenter>

vclient-intro

위 사진과 같이 vCenter Server라는 큰 서버 객체가 존재하며,

서버(vCenter)는 그 아래에 다양한 vClient등을 관리해주게 됩니다.

 

 

사무실-층

 

 

예를 들자면 기업에서는 하나의 vCenter를 운영하고,

각 층마다 vClient(Hosts)들을 두어서 VM들을 각 Host에 분산시킬수 있습니다.

이 각 Host들을 관리해 주는 서버가 vCenter가 됩니다.

HP Microserver의 경우는 1U 서버와 같은 좋은 성능을 가진 서버가 아닙니다.

중소기업에 어울리는 서버이며, 저전력/저소음을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1U 서버와 비교하면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지는 못하지만

저전력/저소음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에서 vCenter로 사용하기에 충분히 좋은 성능을 내고 있고 적은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이 듭니다.

 

vcenter-vm

 

저 또한 Vmware vCenter Server Appliance를 설치해보았습니다.

vCenter의 경우 대부분 라이센스를 따로 구입해야하기 때문에 특별히 설치 방법을 올려드리진 않겠습니다.

 

vcenter-관리하기

 

이번 테스트 제품인 HP Microserver Gen8에 vCenter을 설치하였으며,

제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vClient를 vCenter에 연결을 하였습니다.

 

vcenter-console

 

vCenter를 설치하고 구동하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VM에 나오게 되며,

각종 설정을 마치면, 아래와 같이 vCenter를 Web Client로 vCenter와 vClient 모두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vcenter-webclient

vcenter-webclient-main

 

 

Microserver Gen8에 ESXi 가상화 OS를 탑재하면

개인이나 소규모 그룹이 사용할 경우 vClient 서버 1대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중소기업이나 대기업이 사용할 경우 vClient 서버를 여러대 묶어서 그것을 관리하는 vCenter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다방면에 사용을 할 수 있어서 그 쓰임새가 더욱 돋보이는 서버였습니다.

 

이제 HP Microserver Gen8에 대한 모든 리뷰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그동안 Preview부터 꼼꼼히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다음에는 더 좋은 리뷰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빠시온과 함께하는, 좌우충돌 <Microserver Gen8> 사용후기>

 

0. Preview – HP Microserver(마이크로서버) Gen8 체험단

1. (1) HP Microserver(마이크로서버) Gen8 체험단 – OS 설치 전 준비할 것들

2. (1) HP Microserver(마이크로서버) Gen8 체험단 – 윈도우 서버 2012 standard OS 설치하기

3. (1) HP Microserver(마이크로서버) Gen8 체험단 – HW 성능 리뷰

4. (2) HP Microserver(마이크로서버) Gen8 체험단 – Intelligent Provisioning을 통한 ESXi 설치 전 준비할 것

5. (2) HP Microserver(마이크로서버) Gen8 체험단 – Intelligent Provisioning을 통한 ESXi 설치 및 셋팅

댓글 남기기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