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Xi를 잘 사용하다가 vclient로 접속 했을 때
아래와 같은 경고창이 나오는 것을 볼 때가 있습니다.
Configuration Issues
System logs on host (호스트이름) are stored on non-persistent storage.
구성문제
시스템의 로그 파일이 비영구적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ESXi를 초기 설치를 하고 나서
스크래치 파티션(Scratch Partition)이 구성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vclient에 접속 시 저런 경고창이 나오게 됩니다.
일단 해결책은 URL로 들어가서 vmware 문서에서 제공하는 스크래치 파티션 만들기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vclient 설정에서 고급설정 클릭 후 왼쪽 박스에 ScratchConfig를 눌러 디렉토리를 만들어주면 됩니다.
그런데 왜 지정되어야 할 Scratch Partition이 지정이 제대로 안되서 저런 경고가 나오고,
왜 Scratch Partition이 필요할까요?
#스크래치 파티션의 생성 과정
스크래치 파티션은 4GB의 가상 FAT 파티션으로서 초기 설치 시 esxi 내 공간이 충분한 특정 장소에 자동으로 만들어집니다.
#스크래치 파티션의 필요성
-VM 지원관련 결과물을 보관 (만약 스크래치 파티션이 없을 경우 RAM Disk에 저장)
-처음 서버 시작 시 로그파일 저장소로 지정
-사용자 지정 스왑 저장소 (필요 시)
#스크래치 파티션이 자동으로 구성이 안 되는 경우
-ESXi가 플래시메모리(USB 등)나 SD card에 설치가 된 경우 읽기 쓰기 제한이 있을 수 있어 자동으로 구성이 안됨
-ESXi가 SAN 구성이나 SAS 장치에 설치가 되었을 경우.
#첫 설치 시 스크래치 파티션이 자동 생성 우선순위
-FAT16 포맷의 4GB이상의 로컬 부팅 장치 (USB에 ESXi를 설치 한 경우 불가능)
-FAT16 포맷의 4GB이상의 로컬 장치
-VMFS 로컬 데이타스토어 (./locker 폴더 안에로 지정해야함)
-Ram Disk (/tmp/scratch/ 폴더 안에 구성해야함)
위 순서대로 자동 생성이 이루어집니다.
가장 먼저 부팅 장치에 생성을 시도하고 계속 안되면 결국 램디스크에 구성을 하게 됩니다.
램디스크는 아시겠지만, 비영구 스토리지 입니다.
서버를 재부팅하게 되면 내용이 전부 사라지게 되죠.
그래서 아까 처음에 본 내용처럼 syslog 파일들이 비영구 스토리지에 저장된다는 경고가 나오는 것입니다.
스크래치 파티션이 제대로 작동을 안되도 당장은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차후에 vSphere Update Manager(VUM)을 사용하거나 로그 파일을 형성하려할 때 에러가 나올 수 있으니
만약 스크래치 파티션이 비영구 스토리지에 저장이 되었다는 경고가 나올 경우 미리 스크래치 파티션 지정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 글하고는 별로 관련없는 내용인데 esxi관련해서 몇가지 묻고 싶네요.
제가 usb에 esxi를 설치했는데 64기가짜리라서 남은 부분에다가 운영체제 설치해서 사용가능한가요?? 우분투랑 윈도우하거 해놀로지 설치하고싶은데 가능한가요??
댓글이 중복된게 있어서 한 개는 삭제했습니다.
esxi를 usb에 설치하면 나머지 공간 활용 불가능합니다.
그럼 다른 usb에 운영체제 설치가능한가요?? Ssd살돈이 없네요 ㅠㅠ
안됩니다.
esxi 5.5 U2 사용중인데요. esxi configuration을 수정하고 esxi 서버를 reboot 하더라고 영구히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esxi 설정을 수정하더라도 원래 재부팅하면 그대로 정보가 저장되는 것 아닌가요?
vmware client -> configuration -> security option에서 ssh 를 active하고 작업후에 esxi 를 재부팅하면 다시 없어지네요. 나만 그런가요?
네..
보통은 active가 되어야 합니다.
esxi를 한번 다시 설치해보세요..
Local data sore를 SSD로 구성하고 호스트 캐시 구성을 설정하려고 합니다.
각각 120GB/600GB (대강) 대체 얼마만큼의 사이즈로 구성하면 좋을까요?
가상머신은 3대를 4GB 메모리 정도를 할당할려고 생각중입니다.
그리고 swap파일은 가상머신에도 생성되고 호스트 캐시 구성을 하면 서버사이드 ssd에도 생성되는건가요? 아님 따로 가상 머신별로 설정해줘야 하는건가요?
약간의 설명도 같이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심화인지 기본인지는 모르겠으나 그냥 올려봅니다.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호스트 캐시로 스왑 기능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스왑 파일을 SSD 기반 데이터스토어에 배치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호스트 캐시로 스왑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호스트에서는 여전히 일반 스왑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어느정도 용량으로 지정해야하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고 구글링을 해도 잘 나오질 않습니다.
일단 일반 스왑 파일은 기본적으로 VM이 설치 된 폴더 내에 생성되게 되어있습니다.
거기서 생성된 사이즈를 보시고
그 사이즈의 2배 정도를 호스트 캐시로 생성해주시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얼마만큼의 사이즈로 구성해야하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만약 local data store를 ssd로 구성하면
굳이 호스트 캐시를 생성할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이미 일반 swap 파일이 local data store(ssd)에 생성중일텐데 효용성이 크지 않다고 봅니다.
네. 감사합니다. 성능향상쪽의 자료들을 찾아보고 이것저것 테스트중이라서요.
외국자료들을 보면 향상이 있다와 없다와 분분한것 같아서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