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vcenter에 vRealize Operations Manager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vRealize Operations Manager는 기존의 vCenter Operations Management Suite(vcops)를 대체하는 vcenter 어플라이언스(appliance)로써
vcenter의 성능, 위험도분석, 효율 등 다양한 분야를 예측 및 결과의 분포를 보여주는 하나의 통합된 관제소입니다.
vRealize Operations Manager는
esxi 4.0 이상의 호스트를 관리하는
vcenter 4.0 이상의 버전의 기기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IT 관리자가 서버를 보다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vmware에서 공식적으로 내놓은 vRealize Operations Manager 영상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기존 vCenter Operations Management Suite와의 차이점
1) 쉬워진 설치
원래 vCenter Operations Management Suite의 경우
어플라이언스를 배포하기 전에 위 처럼 Datacenter 내에서 IP pool을 따로 설정을 한 후에
배포를 했어야 하는데 최신 vRealize Operations Manager에서는 이런 수고를 할 필요 없이
그냥 간단히 IP와 DNS, Gateway를 설정 후 배포가 가능해졌습니다.
2) 완전한 분리 그리고 유료화
기존에 vCenter를 구입하면 foundation edition으로 특정 부분을
무료로 배포했던 방식과 달리
vRealize Operations 6는 vcenter에서 완전히 독립되었습니다.
따라서 예전 Vcops는 vCenter내에서 설치가 가능했고 부분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foundation edition 사용이 가능했으나 vRealize Operations 6 부터는 개별 라이센스를 구매해야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물론 무료로 사용하던 구버전 vcops foundation edition 5.8.x를 vcenter 6.0에서도 아직 사용가능합니다)
이외의 것들은 vcops나 vRealize Operations 6나 큰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2. vRealize Operations Manager 설치
1) 다운로드
URL에 접속해서 무료 평가판을 다운로드 받거나
라이센스가 있는 경우 My VMware로 로그인 해서 다운 받습니다.
제목의 괄호 안을 보면 역시 vRealize Operations Manager가 이전 vCenter Operations Management Suite의
업그레이드 버전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ova 방식을 통한 배포
vclient나 web-client를 통해 vcenter에 로그인 합니다.
상단 왼쪽에 파일 > OVF 탬플릿 배포를 누릅니다.
그리고 찾아보기를 눌러 아까 다운받아 놓은 .ova 파일을 넣어줍니다.
제대로 정보가 나오나 확인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동의를 하고
크기를 구성해야 하는데요.
크기를 크게 할 수록 vRealize Operations Manager 어플라이언스는 더 높은 사양을 요구합니다.
저는 테스트 용으로 올렸으므로 아주 작게로 선택했습니다.
아주 작게지만 요구하는 사양이 낮지는 않습니다.
아주 작게도 vCPU 2개와 vApp 용 메모리 8GB를 요구합니다.
다음은 설치 위치 구성입니다.
기본적으로 266GB의 디스크를 요구하기 때문에
그 이상의 디스크를 확보한 디스크에 설치를 해야합니다.
만약 공간이 그것보다 적을 경우 호환성에 문제가 있다고 나오며
씩 프로비저닝을 수행 할 수 없고 씬 프로비저닝만 선택이 가능합니다.
VM 디스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URL로 이동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네트워크 종류도 선택 후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이제 기본 게이트웨이와 DNS, IP 주소와 넷 마스크를 입력 해 줘야합니다.
Default Gateway – 공유기 또는 라우터 주소
DNS – 서버 DNS
Network 1 IP Address – vRealize Operations Manager에 사용 될 IP 주소
Network 1 Netmask – vRealize Operations Manager에 사용 될 IP 주소의 넷마스크 주소
이렇게 입력을 해주면 됩니다.
잘 모르거나 귀찮으면 공란으로 둡니다.
(공유기나 라우터에서 DHCP 서버가 실행되고 있다면)
정보가 잘 들어갔나 확인 후 배포합니다.
배포 후 전원 켜기는 바로 사용하시려면 선택하세요.
배포 후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는지 확인하려면 해당 VM 콘솔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 겁니다.
3. vRealize Operations Manager 설정
vRealize Operations Manager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콘솔에 나온 주소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합니다.
접속하면 이렇게 시작이라는 표시와 함께 초기 설정 화면이 나옵니다.
가운데 새 설치를 눌러줍니다.
만약 기존 설치에서 확장을 하고 싶으면 기존 설치 확장을 클릭하면 됩니다.
다음
관리자 비밀번호를 설정해줍니다.
여기서 아이디는 admin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꼭 확인해주세요.
나중에 잊어버리면 안됩니다.
비밀번호는 대문자, 특수문자, 소문자를 모두 한 개 이상 포함해야 합니다.
인증서를 선택합니다.
보통은 그냥 기본 인증서를 사용하면 됩니다.
배포 설정을 합니다.
클러스터 마스터 노드는 vRealize Operations Manager의 마스터 이름을 말합니다.
그냥 자신이 원하는 이름을 정해서 넣습니다.
NTP는 필수 사항은 아닙니다.
완료를 누릅니다.
그럼 이제 설치가 될겁니다.
설치 후 시스템 상태에서 vRealize Operations manager 시작 버튼을 눌러줍니다.
잠시 후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을 하게 됩니다.
아이디는 admin, 비밀번호는 초기 설치 시 넣었던 것을 입력 후 로그인을 해줍니다.
기본적으로 새 환경을 선택해주고
기존 환경이 있다면 환경 가져오기를 합니다.
EULA 동의를 해주시고
제품을 구매했으면 제품 키를 넣고
아니면 그냥 제품 평가를 선택 후 넘어갑니다.
설치가 최종적으로 끝났습니다.
이제 기본 대쉬보드로 저절로 넘어갈 것입니다.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구입 하면 대쉬보드를 직접 꾸밀 수 있게 되는데
기업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환경에 맞게 입맞대로 꾸밀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다만 가격이… 많이 비싸지 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