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T-D 개론: ESXi 5.5에서 GPU 붙여보기 – VT-D 기본 및 준비물

이번 시간에는 ESXi 5.5에서 VT-D 기술을 이용해 그래픽카드(이하 GPU)를 VM(Virtual Machine)에 직접 붙여보도록 하겠습니다.

 

VT-D란?

 

먼저 VT-D 기술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상화를 할때 각각의 디바이스들은 VMM(Virtual Machine Manager)을 통해서

각각의 VM들과 연결이 되는데요.

이 VMM을 통해서 디바이스를 가상으로 에뮬레이션하여 자원을 할당 받다보니

효율성 문제와 병목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각각의 VM에서 직접적으로 디바이스를

엑세스 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 VT-D 입니다.

 

compare-vt-d-w-no-vtd

(이미지 출처: intel.com)

 

왼쪽이 소프트웨어 기술, 기존 VM의 작동 원리이며 오른쪽이 VT-D 기술을 이용했을때의 작동 모습입니다.

좀 더 구체적인 VT-D 기술에 대한 것을 알고 싶으시다면,

http://software.intel.com/en-us/articles/intel-virtualization-technology-for-directed-io-vt-d-enhancing-intel-platforms-for-efficient-virtualization-of-io-devices

위에 페이지를 가보시면 되겠습니다.

 

 

준비물

 

VT-D는 하드웨어가 지원을 일단 해줘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VT-D를 지원하는 하드웨어를 구비해야합니다.

 

 

1) CPU

 

먼저 CPU가 VT-D 기능을 지원해야합니다.

 

vt-d-지원-cpu

 

Intel의 경우 ark.intel.com에 들어가서 자신의 CPU가 지원을 하는지 확인해봅니다.

 

 

2) 메인보드

 

CPU외에 메인보드도 VT-D를 지원하나 체크해봐야합니다.

메인보드의 경우 워낙 종류가 많고 유통사도 다르기 때문에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가령, 인텔에서는 Q 칩셋계열만 VT-D를 ‘공식’적으로 지원한다고 하지만,

필자의 메인보드는 H 칩셋임에도 VT-D 기능이 들어가있습니다.

제조사에 전화를 해서 구체적으로 지원여부를 물어보거나, 설명서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set-vt-d

 

지원을 하면 위에 사진처럼 바이오스에서 해당 기능을 on/off 할 수 있습니다.

 

 

3) GPU

 

GPU를 VM에 직접 붙일건데 GPU가 없으면 안되겠죠?

ESXi의 경우는 ATI GPU가 잘 붙는다고 합니다.

왠만하면 ATI꺼를 구비하시기 바랍니다.

 

4) 출력 모니터

 

VT-D는 직접 GPU에 라인을 연결하여 모니터에 출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출력할 모니터가 필요합니다.

 

 

자 그럼 이제 준비해야할 것은 끝났습니다.

다음에는 윈도우 OS에 GPU를 직접 붙여보도록 하겠습니다.

 

 

 

VT-D 개론 – ESXi 5.5에서 GPU 붙여보기

1. VT-D 기본 및 준비물

2. VT-D 설정

3. OS내에서의 설정

댓글 남기기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