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조텍코리아에서 1기 서포터즈로 활동했던 빠시온입니다.
서포터즈 활동기간은 끝났지만, 지속적으로 조텍코리아로부터
ZBOX를 제공받아 관련 리뷰를 연재하게 되었습니다 🙂
이번에 리뷰해볼 제품은 ZOTAC ZBOX PI320 인데요.
이전 활동기간 동안 몇몇 서포터즈 분들께서 이미 리뷰를 해주신 제품이라
그 분들이 다루시지 않았던 조금 다른 내용으로 다뤄볼까 합니다.
이번 리뷰는 먼저 제품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것으로 시작을 하겠습니다.
일단 PI320의 첫 느낌은?
“저렇게 작은게 PC야?”
아닐까 싶습니다.
바로 들고 다니기 수월한 것이 ZBOX PI320의 가장 큰 장점일텐데요.
제품의 무게가 151g 밖에 안되는군요!
흔히 전자제품 무게를 측정하려고 하면
집에 있는 체중계를 꺼내서 측정을 했는데요.
PI320은 너무 가벼워서 요리용 저울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비슷한 면적(4.1인치)을 가진 제 휴대폰을 올려보니
150g 으로 무게가 PI320과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요즘 나오는 스마트폰들의 무게가 150g 전후로 형성이 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PI320보다 무거운 스마트폰들도 있습니다.
동봉된 어댑터까지 더한다고 해도 채 300g 을 넘지 않기 때문에 이동시 간편하게
어댑터까지 가지고 다닐 수 있습니다.
이렇게 PI320은 무게와 크기에 많은 신경을 썼는데요.
이외에도 어떠한 장점이 있을까요?
왜 갑자기 PI320의 전원 어댑터를 클로즈-업 했는지 짐작하셨나요?
바로 이것 때문인데요.
출력 전압이 5V에 3A 밖에 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W(와트)로 계산한다면 5 X 3 = 15w가 되는데요.
최대 이 어댑터는 15W까지 전력을 제품에 공급해 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물론 어댑터의 효율을 따지게 되면 100퍼센트 15W의 전력을 공급하기는 어려워
이 어댑터를 사용하는 기기는 Full-Load(100퍼센트 가동시) 상황에서 소비전력이
채 15W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미리 짐작해볼 수 있습니다.
실제 ZBOX PI320의 전력을 측정해보면
제일 높을 때의 전력의 10W를 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어요.
그래프로 한번 봐볼까요?
제품 최대 가동시에도 8.6W밖에 전력 소비를 안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100% 무소음 환경과 최신 아톰 기반의 프로세서를 사용한 결과가 아닐까 싶네요.
매번 사용시 8W를 사용하지 않고 idle 상황이 오면 전력이 줄어들텐데요.
한번 24시간동안 365일 8W씩 전력을 소비한다는 가정하에 한달 요금을 예상해봤습니다.
이 요금은 아파트(고압) 전기 요금을 기준으로 산정을 하였고
장소나 특정 상황에 따라 값이 다르게 나올 수는 있습니다.
다만 분명한건 8W의 소비전력은 정말 전기세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00kW대 구간을 사용하는 집도 그렇게 흔한 집은 아니니깐요)
#PI320의 최대 단점
(이미지 출처: 조텍코리아 홈페이지 http://www.zotackor.com/?this_in=minipc&seq=212)
조텍코리아에 나와있는 PI320의 사양을 보게 되면
유선은 최대 100Mbps(=12.5MB/s)와 무선은 802.11n까지 지원한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802.11n 네트워크에 연결 후 실측을 하게되면
다운로드 17.38Mbps(=2.1725MB/s)와 업로드 19.24Mbps(=2.405MB/s)의 속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저희집 망이 100Mbps인 것임을 감안하면 매우 느린 속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802.11n 무선네트워크는 이론적으로 최대 300Mbps(=37.5MB/s)까지 속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에 훨씬 못 미치는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
이 속도는 3g보다는 빠르며 LTE 초기 서비스시의 속도와 비슷한 수준인데요.
다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은 화면이 작아 한번에 소비하는 데이터 량이 적지만
PC, 특히 FHD 화질로 한꺼번의 많은 정보를 가져올때는 LTE 초기급 속도로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802.11n의 속도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이 매우 아쉽고 이 제품의 단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Wifi 수신율 또한 좋지 못했는데요.
같은 거리, 같은 상황에 있었던 제 노트북의 수신율은 100%인 반면
ZBOX PI320은 수신율이 20%정도에 머물렀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유선 연결의 경우 이론적 속도인 100Mbps에 가깝게 속도가 나왔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왜 이렇게 와이파이 성능이 좋지 못한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ZBOX PI320 국내 리뷰에서는 많이 보지 못했던 분해리뷰를 진행해보겠습니다.
#본 리뷰는 조텍코리아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