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BOX PI320 분해

메인

 

 

안녕하세요.

ZBOX PI320 제품의 리뷰형 연재를 맡고 있는 빠시온입니다.

 

지난시간에 제품의 주요 장단점을 분석했었는데요.

가장 큰 단점으로 제가 어떤 점을 언급했는지 기억하시나요?

 

 

지난리뷰

 

 

혹시 지난번에 포스팅했던 1편을 못보신 분들을 위해

링크를 남겨 놓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보시기 전에 꼭 보고 오시길 바래요.

 

자. 다시 본론으로 와서.

PI320의 최대 단점으로 제가 짚었던 점은 바로 무선랜 문제였죠.

다른 802.11n 형식의 무선랜 제품과 달리 속도라던지 수신율이 좋지 못했는데요.

왜 이러한 문제가 있는지 제품 분해를 해보고, 이왕 분해를 한 김에

PI320은 어떤 부품들로 이루워져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분해

 

 

일단 PI320은 가지고 다니기 편하게 소형화를 시켰기 때문에

일반 컴퓨터와 달리 제품 분해를 위한 나사가 없습니다.

깔끔함과 얇은 것을 좋아하는 맥북에어에도 마찬가지로 나사없이 레이저로 용접을 했는데요.

PI320은 그렇게까진 아니지만 걸쇠 형식으로 제품 본체와 플라스틱 상판을 고정해놨습니다.

 

따라서 상판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흡착판을 상판에 부착 후

잡아당기면 상판과 본체에 틈이 생기는데 이 틈을 기타 피크와 같은 얇은 플라스틱 물질로

좌우로 움직이면서 모든 라인을 따라가며 고정된 걸쇠를 풀어주면 됩니다.

 

이때 힘을 무식하게 가하게 되면 플라스틱 걸쇠가 부러지는

참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애기 다루듯이 조심스럽게 진행해야 합니다.

저는 리뷰를 진행하기 위해 분해를 하였는데 실제 사용자 분들은 굳이 분해하지 않아도 잘 사용하실 수 있으니

웬만하면 분해를 하지 않으시는걸 권장합니다.

그래서 일부러 자세한 분해 영상을 찍어서 올리지 않았습니다.

 

 

보드 구성

 

 

PI320을 분해를 하게 되면 이렇게 2가지 파트로 제품이 나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부르는 마더보드(메인보드)와 다른 추가적인 보드가 딸려 나옵니다.

딸려나오는 보드여서 딸 보드(Daughter Board)라고 하는 걸까요..?^^

….

농담이구요. 그냥 자식(Daughter)와 어미(Mother)의 관계라고 생각됩니다.

자식이 부모보다 대개 작고 따라간다는 느낌을 주듯이,

실제로도 마더보드가 주 역할을 하며, 다터보드는 마더보드를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서버에서 이 방식이 많이 사용이 되는데

PI320에서도 이런 방식을 사용했더군요.

 

PI320의 마더보드는 아시다싶이 CPU, RAM, LAN 등등이 납땜되어 있으며,

다터보드는 주로 와이파이/블루투스와 같은 무선연결 담당과 상단 LED를 밝히는데 사용이 됩니다.

 

 

다터보트

 

 

여기서 다터보드만 자세히 보면 왜 PI320의 무선랜이 그렇게 느리고 수신율이 안 좋은지 눈치를 챌 수 있습니다.

빨강색 네모난 부분을 한번 볼까요?

웬만큼 컴퓨터 만져보신 분들이라면 안테나가 좀 어색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원래무선랜

 

 

보통 PC나 노트북에 들어가는 무선랜 카드는

mini pcie 규격을 따르고 있고,

위에 사진과 같이 안테나가 두개가 연결됩니다.

그러나 PI320의 경우 안테나가 하나만 본체에 연결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제품의 와이파이 수신율을 안 좋게 하는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mini pcie

 

 

다음은 속도 문제인데요.

대개 노트북 용 무선랜 카드는 mini pcie 규격을 따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텍 PI320의 경우 마더보드와 다터보드가 서로 독자적인 방법으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이 연결 방법이 보통의 mini pcie 규격보다 속도 지원 대역폭이 적어서 일어나는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그럼 해결책은요?

 

PI320은 와이파이/블루투스 구조가 특이하기 때문에

다른 mini pcie 처럼 교체가 가능한 구조가 아닙니다.

 

 

해결책

 

 

유선랜성능

 

 

따라서 속도가 잘 나오는 유선랜을 설치를 하던가

유선랜 환경이 불가능하다면,

usb 2.0 방식을 지원하는 802.11n 무선랜 카드를 지저분하더라도 그렇게 사용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제 PI320의 다른 부품들을 보러 갈까요?

 

 

메인보드

 

 

PI320의 마더보드를 보게되면

유선랜, 마이크로 sd카드 리더, 바이오스 용 배터리 등이 눈에 띄며,

리얼텍 유선 100Mbps 칩셋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뒷면에는 제품의 머리인 CPU, RAM 등이 납땜 되어 있는데요.

뒷면은 서멀구리스 등으로 패시브 쿨링 처리가 되어있기 때문에

제품을 뜯어내긴 뭐해서 관련 그림을 특정 출처에서 가져왔습니다.

 

 

뒷면

(출처: URL)

 

 

윗면에는 하이닉스 DDR3-1333L 램이 박혀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밑에는 Z3735F (1.33GHz) ATOM Quad CPU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CPU의 7시방향에 위치한 네모난 것은 삼성의 32GB 낸드 플래시 eeprom 입니다.

 

 

DSC_0010

 

 

이번에는 조텍 ZBOX PI320의 와이파이/블루투스 문제가 왜 일어나는지에 대해 알아보면서

제품 분해 리뷰를 같이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이 제품을 어떻게 활용을 해볼지

생각해보고 활용 해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이 리뷰는 조텍코리아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남기기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