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조텍코리아 서포터즈 1기 빠시온입니다.
이번 달부터 3달 간 조텍코리아의 여러 ZBOX 모델들의 특징 및 활용도를
별도로 나누어 진행하려고 합니다.
매월 2부작으로 진행이 될 예정입니다.
9월에 진행할 ZBOX 제품은 바로 CI320 입니다.
1부에서는 해당 제품의 하드웨어 및 성능에 대해서 다룰 예정이고
2부에서는 해당 제품을 가지고 어디에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글을 쓰려고 합니다.
지금 작성하는 포스팅은 크게
1. 제품 소개 및 외관
2. 저장 장치 및 RAM 설치 (제품 내부 알아보기)
3. 제품 셋팅 및 성능측정
4. 소비 전력 & 마무리
로 다루고자 합니다.
1. 제품 소개 및 외관
먼저 ZBOX CI320의 상자를 받아보면 C라는 알파벳과 Passive Cooling이라는 단어가 눈에 확 띕니다.
패시브 쿨링이란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공랭식 쿨러나 수냉식 쿨러 일체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당제품에는 오로지 열을 식혀주는 방열판만 설치되어있습니다
패시브 쿨링은 공기 순환과 저전력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가능합니다.
ZBOX CI320의 경우 제품 앞면과 뒷면을 제외하면 모두 벌집 모양의 타공망이 뚤려 있어서 공기순환이 잘 되도록 만들었습니다.
CI320이 사용하는 Intel Celeron N2930 CPU의 MAX TDP 또한 7.5W 밖에 되지 않아 발열이 매우 적습니다.
CPU에 대한 나머지 자세한 사항은 뒤에 있을 성능 측정 부분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상자를 열어보면
어댑터, SPDIF 변환젠더, WIFI 안테나 등이 담긴 하얀색 박스, VESA 모니터 마운트, 본체, 드라이버 CD, 설명서가 들어있습니다.
전용 어댑터의 경우 일반 노트북과 비교해 매우 가벼우며,
19V , 2.1A를 사용할 정도로 낮은 암페어를 출력하는 어댑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ZBOX 본체와 연결하는 선 조차 매우 얇다는 점을 미루어 볼때
이 제품은 굉장히 전력 소모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I320의 앞면과 뒷면입니다.
앞면에는 전원버튼, 스토리지&와이파이 상태등, IR 리시버, SD카드 슬롯, 헤드폰과
마이크 단자와 USB 2.0 단자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뒷면은 DC 케이블 입력, DP&HDMI 출력포트, USB 3.0, RJ-45 랜 포트, eSATA,
와이파이 안테나 연결 단자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모니터 출력을 하기 위해서는 DP나 HDMI 케이블이 필요한데요.
구성품에는 이러한 케이블이 하나도 들어있지 않다는 점이 조금 아쉽습니다.
2. 저장 장치 및 RAM 설치 (제품 내부 알아보기)
이제 저장 장치(HDD 및 SSD)와 RAM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제품은 완제품이기 때문에 임의로 저장장치와 RAM을 탈착할 경우 A/S가 안된다고 합니다.
저는 테스트용 제품이기 때문에 탈착을 해보았습니다.
제품 탈착을 하기 위해서는 아래로 제품을 뒤집어서 4개의 핸드스크류를 돌려서 빼주면 됩니다.
밑 하판을 제거하면 위에는 64GB SSD가 장착되어있고
아래 왼쪽에 무선랜카드, 그리고 오른쪽에는 2GB RAM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SSD의 경우 중국에서 만든 것 같은데 모델 명을 검색 해봐도 뚜렷한 모델명이 나오지 않습니다.
SSD를 들어올리고 오른쪽으로 잡아당기면 탈착이 가능합니다.
RAM은 크루셜 램을 사용합니다.
램 양쪽에 있는 은색 바를 바깥쪽으로 당겨주면 램이 툭 튀어나오게 됩니다.
SODIMM DDR3L을 사용한다고 보드에 나와있네요.
무선랜카드는 Intel Dual Band Wireless-AC 3160을 사용합니다.
탈착은 무선랜카드에 붙어있는 안테나 2개를 제거 후, 오른쪽에 있는 나사를 제거하면 됩니다.
다음 페이지를 보시려면 댓글남기기 위에 2 페이지 버튼을 눌러주세요.
본 포스팅은 조텍코리아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